
연번 |
성 분 명 |
제 형 |
주요 적응증 |
허 가 품 목 |
1 |
아시트레틴 |
캡슐제 |
건선치료제 |
네오티가손캡슐10mg |
2 |
알렌드론산 나트륨 |
정제, 캡슐제 |
골다공증치료제 |
포사맥스70mg정 등 55품목 |
3 |
염산 아미오다론 |
정제 |
부정맥치료제 |
코다론정 등 2품목 |
4 |
베실산 암로디핀 |
정제 |
고혈압치료제 |
노바스크정5mg 등 20품목 |
5 |
미분화 부데소니드, 푸마르산 포르모테롤 이수화물 |
흡입제 |
천식치료제 |
심비코트터부헬러80/4.5㎍ 등 3품목 |
6 |
황산수소 클로피도그렐 |
정제 |
항응고제 |
플라빅스정75mg등 56개 품목 |
7 |
펜타닐 |
경피흡수제 |
마약성진통제 |
듀로제식 디트랜스 패취 12㎍/h 등 5품목 |
8 |
인플릭시맵 |
주사제 |
면역억제제 |
레미케이드주사100mg |
9 |
휴먼 인슐린 |
주사제 |
당뇨병치료제 |
휴물린70/30 등 4품목 |
10 |
이소트레티노인 |
캡슐제 |
여드름치료제 |
로아큐탄캡슐10mg 등 23품목 |
11 |
린단 |
외용-로션 |
옴치료제 |
신신린단로오숀 등 2품목 |
12 |
멜록시캄 |
정제, 캡슐제 |
소염진통제 |
모빅캡슐15mg 등 74품목 |
13 |
니트로글리세린 |
설하정 |
협심증치료제 |
명문니트로글리세린0.6mg설하정 등 3품목 |
14 |
노르플록사신 |
정제 |
항생제 |
종근당박시달정 등 13품목 |
15 |
리바비린 |
캡슐제 |
항바이러스제 |
바이라미드캅셀 등 32품목 |
16 |
말레인산 로시글리타존 |
정제 |
당뇨병치료제 |
아반디아정2mg 등 4품목 |
17 |
미분화 크시나포산 |
흡입제 |
천식치료제 |
세레벤트흡입제 |
18 |
구연산 타목시펜 |
정제 |
항암제 |
놀바덱스정 등 19품목 |
19 |
발프로산 나트륨 |
정제 |
항전간제 |
오르필서방정150mg 등 14품목 |
20 |
와파린 나트륨 |
정제 |
항응고제 |
제일쿠마딘정 등 17품목 |
<휴먼인슐린 단일제 (주사, 휴물린 펜) 허가현황>
연번 |
제품명 |
업소명 |
1 |
휴물린 70/30 |
한국릴리(유) |
2 |
휴물린카트리지 70/30 |
한국릴리(유) |
3 |
휴물린엔카트리지 |
한국릴리(유) |
4 |
휴물린엔주 100단위 |
한국릴리(유) |
|
휴물린은 어떤 약일까요?
● 휴물린은 펜 형태의 인슐린주사입니다. 혈당을 낮추기 위해 당뇨환자 스스로 주사하는 약입니다.
휴물린을 사용하면 안 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 혈당이 낮은 환자
● 휴물린이나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어떻게 휴물린을 사용해야 할까요?
● 의사의 처방대로 정확하게 사용합니다. 환자 스스로 사용 횟수를 조절하거나 사용을 중단하지 마십시오. 처방된 양은 환자에게 적합하게 조절된 것입니다.
● 사용방법을 충분히 교육받고 사용하십시오.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시고 의사가 알려준 사용법이 있다면 그 방법을 따르십시오. 사용이 어려운 경우는 의사나 약사에게 문의하십시오.
● 휴물린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십시오.
●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사용할 경우 사용하기 15〜30분전에 실온에 미리 꺼내놓았다가 사용하십시오.
● 이 약이 얼었을 경우는 사용하지 마시고 폐기하십시오.
● 다른 사람과 약, 바늘과 펜을 같이 사용하지 마십시오. 병이 옮을 수도 있습니다.
● 주사바늘은 주사 할 때마다 새것을 사용하십시오.
● 보통 아침과 저녁 식사 30분 전에(한번 투여할 경우는 아침식사 전) 투여합니다.
● 배, 허벅지, 팔의 위쪽, 엉덩이에 투여가능 합니다. 주사 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 구역을 정해서 그 안에서 순환하며 투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되도록 최근 주사한 부위를 피하여 주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사한 부위와 가까운 곳에 주사할 경우에는 3cm 이상 떨어진 곳에 주사해야 합니다.
● 피부 밑에 주사(피하주사)해야 합니다. 혈관에 주사바늘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주사한 부위를 문지르지 마십시오.
● 사용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 우선 혈당부터 측정하십시오. 그리고 곧바로 사용하되 다음 사용시간이 가까운 경우에는 건너뛰고 다음 사용시간에 예정대로 사용하십시오. 한번에 2회 용량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과량 사용하였을 경우 저혈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가벼울 경우는 사탕이나 주스 등의 단 음식을 먹어서 회복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포도당 주사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의식이 없을 경우에는 음식을 먹이지 마시고 의사에게 곧바로 연락해야 합니다.
<휴물린 사용법>

휴물린을 사용하는 동안에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 저혈당 증상이 있을 때 먹을 사탕과 같은 단 음식이나 과일 주스를 항상 휴대하고 다니십시오.
● 복용 중인 약, 비타민, 건강기능식품이 있다면 의사에게 미리 알리십시오. 특정한 약은 휴물린의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주변사람들에게 당뇨가 있음을 알리고 저혈당증세가 나타났을 때 응급처치에 대해 설명해 주십시오.
● 저혈당 증상이 자주 나타나는 경우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의 작동을 피하십시오. 저혈당이 있을 경우 집중력이나 운동반응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술은 되도록 마시지 마십시오. 술로 인해 저혈당이 되기 쉬워집니다.
● 해외여행을 갈 경우 의사에게 미리 알리십시오. 약의 투여시간을 조절해야 할 수 있고 여분의 인슐린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행기에 탈 때는 수화물 칸에 맡기면 약이 얼 수 있으므로 기내에 가지고 타십시오.
● 휴물린의 반응은 주사용량, 주사부위, 환자의 활동량에 따라 개인차가 있습니다.
● 질병이 생기거나 감정적인 변화가 있으면 인슐린의 필요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의사에게 알리고 조언을 받으십시오.
● 다음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므로 의사에게 미리 알리십시오.
▷ 인슐린 필요량이 심하게 변할 수 있는 환자
◆ 수술을 받았거나 상처가 있는 환자
◆ 감염증이 있는 환자
▷ 저혈당이 나타나기 쉬운 경우
◆ 간이나 신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
◆ 호르몬에 이상이 있는 환자(뇌하수체, 부신, 갑상선에 이상이 있는 환자)
◆ 잘 먹지 못하였거나 불규칙하게 식사를 하는 환자
◆ 심한 운동이나 노동을 하는 환자
◆ 술을 많이 마시는 환자
◆ 체중이 감소한 환자
◆ 설사나 구토 등 증상이 있는 환자
◆ 당뇨를 오래 앓은 환자
◆ 강화 인슐린 요법을 받는 환자
◆ 당뇨성신경증을 앓는 환자
◆ 심한 저혈당 증상이 있었던 환자
●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을 경우 또는 수유를 하는 동안은 인슐린의 필요량이 변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신중하게 사용하십시오.
● 소아의 경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신중하게 사용하십시오.
● 고령자의 경우 저혈당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신중하게 사용하십시오.
휴물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저혈당 증상
● 고혈당 증상
● 과민반응
▷ 주사 부위에 가려움, 붓기, 발진이 있음. 이러한 증상은 소독약이 자극적이거나 주사방법이 미숙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신증상. 숨쉬기가 힘듦, 맥박이 빨라짐, 혈압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
휴물린을 어떻게 보관해야 하나요?
● 휴물린은 햇빛과 열을 피해 보관하십시오.
● 휴물린은 실온에서 휴대하고 다니면서 한 달간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하지 않는 약은 냉장고(2〜8℃)에 보관하십시오. 단, 얼지 않도록 하십시오.
● 주사바늘이 끼워진 채로 보관하지 마십시오. 바늘이 끼워져 있을 경우 인슐린이 새어나올 수 있습니다.
● 휴물린을 비롯한 모든 약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휴물린의 구성 성분은 무엇일까요?
● 활성성분: 휴먼 인슐린
● 비활성성분: 메타크레졸(방부제), 페놀(보존제)
기타사항
● 이 환자용 복약 안내서에 기재된 내용과 다른 목적으로 이 약이 처방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의사나 약사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입/제조사명 및 문의처
수 입 사 : 한국릴리(유)
연 락 처 : 02-3459-2676
의약품 부작용 발생시 대처 요령
의약품 복용 시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부작용이 의심되면 가장 먼저 의사 또는 약사와의 상담을 통해 복용중지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의심되는 부작용은 소비자 여러분이 직접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보고하실 수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보고된 사례를 분석하여 의약품과 부작용간의 인과관계를 과학적으로 평가합니다.
☞ 확인된 안전성 정보는 의약품 사용상 주의사항에 반영되고 보건의료인에게 공지되어 추가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