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들의 의약품 개발 역사는 질병과 싸워 온 인류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우리 기업들에는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미국 존슨앤존슨(얀센) 헤드쿼트 전경 [사진=2006 by Henry N. Cobb from the Pei Company, built 1983., via Wikimedia Commons]](/news/photo/202303/332176_213039_1215.jpg)
[헬스코리아뉴스 / 이충만] 한국얀센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카빅티’(Carvykti, 성분명: 실타캅타진 오토류셀·ciltacabtagene autoleucel)가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국내에서는 스위스 노바티스(Novartis)의 ‘킴리아’(KimriaI, 성분명: 티사젠렉류셀·tisagenlecleucel)에 이은 2번째 CAR-T 치료제 허가 사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6일 ‘카빅티’를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로 품목 허가했다. 허가된 적응증은 이전에 프로테아좀억제제, 면역조절제제, 항-CD38 항체를 포함해 적어도 4가지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의 치료이다.
‘카빅티’는 환자의 면역세포(T세포)에 B세포 성숙항원(BCMA)을 인지할 수 있는 유전정보를 넣어준 후, 이 T세포를 다시 환자의 몸에 주입하는 형태의 항암제다. B세포 성숙항원(BCMA)은 형질 세포 분화 중에 선택적으로 발현되며 다른 주요 기관에서는 발현하지 않으므로, 형질 세포암(다발골수종)에 대한 이상적인 표적으로 꼽힌다.
이날 식약처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심사 기준에 따라 해당 의약품의 품질, 안전성·효과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등을 과학적으로 철저하게 심사·평가했다”며 “‘카빅티’는 해당 법안 제30조에 다른 장기추적조사 대상 의약품이며, 투여일로부터 15년간 이상사례 현황을 추적조사해야 한다”고 전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해 2월 이 약물을 이전에 최소 4회 이상의 치료를 받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 대한 5차 치료제로 승인한 바 있다. 유럽 집행위원회(EC)는 지난해 5월 다발성 골수종의 4차 치료제로 ‘카빅티’를 조건부 허가했으며, 일본 후생노동성(MHLW)은 2022년 9월 ‘카빅티’를 승인했다.
현재까지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CAR-T 치료제는 ▲노바티스의 ‘킴리아’ ▲미국 BMS ‘아베크마’(Abecma, 성분명: 이데캅타진 비클류셀·idecabtagene vicleucel)와 ▲‘브레얀지’(Breyanzi, 성분명: 리소캅타진 마라류셀·lisocabtagene maraleucel) ▲얀센의 ‘카빅티’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의 ▲‘예스카타’(Yescarta, 성분명: 브렉수캅타진 오토류셀·brexucabtagene autoleucel)와 ▲‘테카투스’(Tecartus, 성분명: 애시카브타겐실루셀·axicabtagene ciloleucel) 등 총 6종이 있다.
이중 다발성 골수종 적응증을 확보한 약물은 얀센의 ‘카빅티’와 BMS ‘아베크마’ 등 2개다. ‘아베크마’는 아직까지 국내 허가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식약처는 이날 14건의 임상시험 및 7개 의약품의 시판을 허가했다. 아래는 이번에 승인된 임상시험 및 의약품 품목허가 목록이다.
▼임상시험 허가 목록
업체 |
제품명 |
임상시험 제목 |
임상시험 단계 |
실시기관 |
유앤생명과학 |
YN-001 |
건강한 성인에서 YN-001과 YN-001R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
넥스팜코리아 |
덱타론정400mg |
건강한 성인에서 넥스팜코리아 덱타론정 400mg(덱시부프로펜 디.씨.)과 유니메드제약 디부루펜정 400mg(덱시부프로펜디.씨.) 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인산의료재단 메트로병원 |
안국약품 |
AG1601 |
건강한 성인에서 AG1601T와 AG1601R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
한국아이큐비아 |
로카틴리맙(AMG 451) |
중등증에서 중증 아토피 피부염(AD)이 있는 청소년 시험대상자에서 로카틴리맙(AMG 451)의 유효성,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 |
3상 |
국립중앙의료원 등 10개 기관 |
한미약품 |
RLD2103, RLD2301 |
RLD2103, RLD2301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 |
3상 |
|
신일제약 |
레보트로정(레보드로프로피진) |
건강한 성인에서 신일제약 레보트로정(레보드로프로피진)과 코오롱제약드로피진정(레보드로프로피진)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부민병원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씨스푸란주 |
복막전이 위암 환자에서 복강경적 복강내 온열 항암화학요법과 전신-복강내 항암요법의 효능 평가 |
1/2상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
펙수클루정40mg |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펙수프라잔의 위염증상 예방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 |
연구자 임상시험 |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
중헌제약 |
안티플라정 |
건강한 성인에서 중헌제약의 안티플라정(클로피도그렐황산염)과 한독의 플라빅스정 75 mg(클로피도그렐황산염)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의료법인석경의료재단센트럴병원 |
이니스트에스티 |
NCBV |
건강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NCBV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 |
1상 |
전북대학교병원 |
네오이뮨텍 |
NT-I7 |
건강한 성인 남성 자원자를 대상으로 NT-I7 단회 정맥 (IV bolus 또는 infusion) 투여 후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 및 약력학을 평가 |
1상 |
서울대학교병원 |
대화제약 |
DHP2820 |
건강한 성인에서 대화제약 시큐린정30mg(니세르골린)과 일동제약 사미온정30mg(니세르골린)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재단법인베스티안재단베스티안서울병원 |
다이나세라퓨틱스 |
SOL-804 |
건강한 남성 자원자를 대상으로 SOL-804와 Zytiga정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비교 |
1상 |
서울대학교병원 |
마더스제약 |
니세엠정(M-N01T) |
건강한 성인에서 마더스제약의 M-N01T와 일동제약의 M-N01R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생동 |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
▼의약품 허가 목록
제품명 |
업체명 |
적응증 |
허가심사유형 |
뮤코나주(아세틸시스테인)(앰플) |
아주약품 |
기침 가래 증상 치료 |
전문의약품(제네릭) |
더블유뮨액 |
경진제약 |
비타민 B1, B2, B6의 보급 |
일반의약품(표준제조기준) |
마시텐정10mg(마시텐탄) |
삼진제약 |
Ⅱ~Ⅲ 단계에 해당하는 폐동맥고혈압(WHO GroupⅠ) 성인 환자의 장기 치료 |
전문의약품(제네릭) |
스트롱샷연질캡슐(이부프로펜) |
경방신약 |
해열∙소염 진통 |
전문의약품(제네릭) |
마이칼큐정 |
명문제약 |
비타민 D의 보급 |
일반의약품(표준제조기준) |
에스뮨액 |
경진제약 |
비타민 B1, B2, B6의 보급 |
일반의약품(표준제조기준) |
카빅티주(실타캅타젠오토류셀) |
한국얀센 |
이전에 프로테아좀억제제, 면역조절제제, 항-CD38 항체를 포함하여 적어도 4가지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의 치료 |
전문의약품(유전자 치료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