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헬스코리아뉴스】토종제약사들이 개발한 국산신약들이 출시 초기임에도 매출 1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레바넥스의 블록버스터 진입은 이 약물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 3개의 적응증을 확보해 GSK의 '잔탁', 아스트라제네카의 '로섹'등 경쟁약물 보다 활용범위가 넓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속도라면 레바넥스의 올해 매출액은 200억원이 넘어설 것으로 유한양행측은 기대하고 있다.
부광약품의 만성B형간염치료제 '레보비르'도 지난한 10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자체 추정하고 있다.
부광측은 올해 레보비르의 매출 목표를 300억원으로 잡고 있다. 이는 이 약물의 건강보험 적용 기간이 1년에서 2년으로 확대된 데다, 간암 간경변 환자에 대해서도 급여가 인정됐기 때문.
이로써 현재 국산 신약 중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약물은 동아제약의 천연물 신약 '스티렌'과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를 포함 4개로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만큼 정부의 지원이 강화되면 향후 외국제약사와 경쟁할 수 있는 신약이 속속 쏟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배병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