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연초부터 시작된 폭설로 요즘 술을 파는 음식점들은 울쌍을 짓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주당들에게 있어 폭설은 술을 마시기에 더 없이 좋은 핑계거리다. 눈도 오고 차도 막히는데, ‘술이나 한잔 하고갈까’라는 생각이 절로 나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이 특히 주의해야할 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약 복용법이다.
식약청에 따르면 감기약, 혈압약, 무좀약 등을 복용하는 사람이 알콜을 섭취할 경우 약물의 부작용을 악화시킬수 있다. 주요 부작용은 위염 등 위장장애, 위장출혈, 간 손상, 저혈압 등이다.
일반적으로 술을 마시면 30분에서 2시간 사이에 가장 높은 혈중 농도를 보이는 데, 혈중 농도가 높을수록 약물의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성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약물별로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우선 가장 흔하게 복용하는 아스피린이다.
아스피린은 위점막을 자극하는 부작용이 있다. 이 약을 복용한 후 술을 마시면 주성분인 알콜이 위장점막을 자극해 위산분비를 증가시키고 심한 경우 위출혈까지 발생할 수 있다.
진정제, 수면제, 항 경련제는 어떤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이들 약물을 복용한 후 술을 마실 경우, 전신마취제나 수면제와 같이 중추신경을 억제하는 알콜의 효과와 결합되어 기대되는 약물의 효과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난다. 호흡곤란과 저산소증이 일어날 수 있다.
해열진통제, 무좀약, 고지혈증약도 술과는 상극이다.
해열진통제, 무좀약, 고지혈증약 등은 간에서 독성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술과 함께 복용하게 되면 해당 약품을 간에서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져 독성물질이 남게 되고 간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냥 높은 게 아니라 매우 높다는 것이 포인트다.
잘 알려진 것처럼 알콜은 간에서 분해되면서 숙취를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를 발생시키는데, 여기에 약물까지 복용하게 되면 간의 해독능력이 한계상황에 이르기 때문이다.
약을 복용하는 분들이라면 새해 신년회 등으로 잦아지는 술자리는 가급적 피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 보너스 하나
참고로 의약품 부작용과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의약품 민원사이트(http://ezdrug.kfda.go.kr)에 가면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