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이한울] ‘제약 24시’는 자칫 놓치기 쉬운 제약바이오 관련 단신 뉴스를 한눈에 보여주는 코너입니다. 사소한 뉴스거리 같지만 누군가에게는 소중한 정보가 될 수 있기에 팩트만 요약해 알기 쉽게 보여드립니다.
동국제약, 친환경 사회공헌활동 통해 ESG 경영 실천
![동국제약 인사돌 사랑봉사단[사진=동국제약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74_3330.jpg)
동국제약 임직원들로 구성된 ‘인사돌플러스 사랑봉사단’은 지난 달 18일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우드락 공작소 목공방에서 수거한 폐목재를 활용해 가구와 소품을 제작했다.
환경실천연합회 주관으로 진행되는 ‘폐목재 Blooming 활동’이란 시민과 함께 폐목재를 다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해 대기질을 개선하고 지구의 환경을 다시 한 번 아름답게 꽃 피우길(Blooming) 희망하는 폐목재 수거 및 자원화 캠페인이다.
동국제약은 올해 2월부터 임직원들 대상은 '우리의 지속 가능한 씨앗, ESG 경영 실천’이란 사내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이를 위해 개인 텀블러 지급 후 ‘사내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정시출근과 정시퇴근으로 ‘일과 삶의 균형’, 18:30분에 사무실 일괄 소등해 ‘에너지 절감’, 퇴근 시 ‘개인 PC 전원 끄기’ 등 세부지침을 시행하고 있다.
유유제약, ‘제천시 기업인의 날’ 시상식에서 2개 부문 수상
![유유제약 관계자들이 지난 21일 제1회 제천시 기업인의 날 시상식에서 2개 부문을 수상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유유제약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75_3644.jpg)
유유제약은 21일 열린 제1회 제천시 기업인의 날 시상식에서 모범기업 및 모범근로자 2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유유제약은 경영혁신 및 지역 일자리 창출, 자원봉사 및 기부 등 ESG 경영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천시장상을, 유유제약 이창윤 부공장장은 충청북도 도지사상을 받았다.
이번 시상식은 제천시청과 제천단양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기업·기업인·근로자에 대한 예우 풍토 조성과 기업활동 촉진 및 기업인의 경영 의욕 고취를 위해 올해 처음으로 개최했다.
팜젠사이언스, MRI 간특이 조영제 신약 국제특허 등록
![거대고리형 MRI 간특이 조영제(Gd-SucL)를 쥐에 투여한 결과 MRI 촬영 시 우수한 간조영력과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했다. [사진=팜젠사이언스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77_573.png)
팜젠사이언스는 글로벌 혁신 신약(first in class)인 MRI 간특이 조영제의 한국 특허에 이어 최근 호주 특허 등록(제2021368704호)을 완료했다.
간특이 MRI 조영제 신약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시 영상의 대조도를 높여, 원하는 장기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투여하는 약물이다.
MRI 촬영시 사용되는 가돌리늄 조영제는 화학구조에 따라 선형(linear)과 거대고리형 (macrocycle)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선형 조영제가 신장기원 전신 섬유증(NSF) 유발, 뇌 잔류 우려 등 안전성 문제로 지난 2017년 글로벌 시장에서 퇴출되면서 조영제는 거대고리형으로 전환된 바 있다. 하지만, 간을 조영할 때 사용되는 간 특이 조영제는 아직 거대고리형이 없다는 것이 팜젠사이언스의 설명이다.
대원제약, ‘해열제 바로 알기’ 캠페인 진행

대원제약은 21일 ‘2023 건강서울페스티벌’에서 '해열제 바로 알기 캠페인'을 진행했다.
건강서울페스티벌은 다양한 연령층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의약품과 건강관련 내용으로 구성한 각종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행사다. 서울시약사회가 주최하고 대한약사회와 서울특별시가 후원해 매년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는 약사회 부스 12곳과 제약사 부스 32개가 들어섰으며 주최 측 추산 약 5만명이 참석했다.
대원제약은 대표 제품인 짜 먹는 감기약 ‘콜대원’ 및 ‘콜대원키즈’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제품군으로 부스를 채웠다. 부스를 방문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3종의 콜대원 시리즈를 증상에 따라 색으로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설명해 감기약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도왔다.
메디톡스, 뉴로더마 코스메틱 ‘뉴라덤’ 신세계면세점 입점
![메디톡스 뉴로락토, 뉴로데일리 라인[사진=메디톡스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79_1012.jpg)
메디톡스의 뉴로더마 코스메틱 ‘뉴라덤(NEURADERM)’이 신세계면세점에 입점해 판매를 시작했다. 메디톡스는 신세계면세점에서 ‘뉴로락토’ 3종(토너·세럼·모이스처라이저)과 ‘뉴로데일리’ 4종(클렌저·미스트·선크림·페이셜밤), 신규 마스크팩 2종(하이드로브라이트닝·딥카밍), 크림MD 등을 판매할 계획이다.
‘뉴라덤’은 보툴리눔톡신 제제와 필러 연구를 통해 피부 속 신경전달 작용에 대한 20여년간의 R&D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메디톡스 연구진이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M.Biome’(엠바이옴) 특허 원료를 기반으로 만든 뉴로더마 코스메틱 브랜드다.
지난 3월 대대적 리뉴얼을 거쳐 특허 받은 펩타이드, 엑소좀, 락토바실러스 등을 함유, 각각의 특장점을 갖고 있는 라인업을 갖추고 소비자 공략을 시작했다.
삼진제약, 1회용 여드름 치료제 ‘아크원팁스왑액’ 출시
![삼진제약 아크원팁스왑액[사진=삼진제약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82_3330.jpg)
삼진제약은 최근 스왑형태 여드름 외용제 일반의약품 ‘아크원팁 스왑액’을 출시했다.
여드름은 피지 분비량이 많아지면서 피지가 모낭 내벽을 자극하고 모낭의 구멍을 막아 면포가 형성되면서 발생한다.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는 ‘면포’라 불리우는 비염증성 여드름으로 분류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붉고 농이 차는 염증성 여드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비염증성 여드름 단계에서의 관리와 치료가 중요하다.
삼진제약 ‘아크원팁 스왑액’은 살리실산 2% 성분의 제품으로 살리실산이 각질 용해제로 작용해 세포간의 각질과 면포를 용해 및 제거하고 면포 생성을 예방한다. 특히 비염증성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원인 균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대웅제약, ‘간 때문이야’ 광고 2023년 버전 공개
![우루사 광고모델 차두리축구 국가대표 코치(왼쪽)와 배우 김아영. [사진=대웅제약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83_368.jpg)
지난 2011년 대웅제약 간 기능 개선제 ‘우루사’ 광고모델로 인기를 얻었던 차두리 코치가 ‘2023 간 때문이야’ 광고를 통해 ‘우루사맨’으로 복귀한다. 이번 광고에는 MZ세대 직장인의 아이콘으로 꼽히는 배우 김아영이 합류해 ‘우루사맨’ 차두리를 소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광고는 회사 사무실에서 일하던 김아영이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우루사맨’ 차두리를 불러내고, 차두리가 그에 화답해 ‘간 때문이야’ CM송(광고방송용 노래)을 부르는 스토리텔링 방식이다. 두 사람은 절묘한 호흡으로 피로에 찌든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상황을 풍자하고 위로한다.
이번 광고는 또 ‘간이 풀려야 피로가 풀리죠’라는 메시지를 통해 ‘육체피로’와 ‘전신권태 개선’에 대한 ‘대웅 우루사’ 특유의 효능을 전달한다. ‘2023 간 때문이야’ 신규 광고는 대웅제약 헬스케어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한국에자이, 치매극복의 날 기념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수상
![제16회 치매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에자이 관계자가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고 있다. [사진=한국에자이 제공]](/news/photo/202309/334399_219384_3735.jpg)
한국에자이는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6회 치매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치매 극복 및 질환 인식 개선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한국에자이는 2018년부터 중앙치매센터와 ‘온국민 치매공감 프로젝트’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치매 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전개해 왔다.
지난 6년간 진행된 한국에자이 온국민 치매공감 프로젝트는 중앙치매센터 협력 프로그램 중 가장 돋보이는 사례로 선정되며 대국민 치매 인식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