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임도이]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 감염될 경우, 왜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높은지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결과나 나왔다.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직무대리 장희창)은 줄기세포로부터 만든 3D 인간 폐조직(오가노이드)을 이용해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에 걸릴 경우 폐 손상이 심해지는 과정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25일 질병청에 따르면,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에 걸린 환자는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더 높으나, 그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생체모델이 제한적이라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국립보건연구원 김정현 보건연구관과 최장훈 보건연구관은 그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줄기세포로부터 3D 인간 폐조직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3D 인간 폐조직을 이용해,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에 걸리는 경우 바이러스가 폐조직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수용체를 상호 증가시켜 세포내 사스코로나바이 러스2(코로나19 바이러스) 양이 10배 가량 증가 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두 바이러스가 상호 증진적으로 감염력을 강화해 폐조직이 손상되면서 염증반응과 장기 손상이 증가하고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높아진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예컨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는 독감바이러스가 세포내로 침투하는데 필요한 수용체를 증가시켰고, 반면에 독감 바이러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2의 수용체를 증가시켰다.
연구 결과는 감염병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 '신종 미생물과 감염(Emerging Microbes & Infections)'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참고로 이번 연구논문에 사용된 줄기세포(Stem cells)는 전분화능 줄기세포였다. 대표적으로 역분화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전분화능 줄기세포로 제작한 인간조직유사체는 질병모델링, 약물스크리닝, 세포치료제 개발, 약물 독성시험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