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 환자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 60대 이상이 60% 차지
배뇨장애 환자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 60대 이상이 60% 차지
건강보험공단, 2017~2021년 배뇨장애 진료현황 분석

2021년 진료인원 남성 29만 729명, 여성 45만 5330명
  • 이지혜
  • admin@hkn24.com
  • 승인 2023.05.11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trong>요로결석이란? </strong>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돼 소변의 흐름에 장애를 유발하고, 그 결과 격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요로감염, 수신증, 신부전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사진=헬스코리아뉴스 D/B]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배뇨장애’ 환자 중 60%가 60대 이상이고,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배뇨장애’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7년 57만 4889명에서 2021년 74만 6059명으로 17만 1170명(29.8%)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7%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1년 29만 729명으로 2017년 19만 5557명 대비 48.7%(9만 5172명), 여성은 2021년 45만 5330명으로 2017년 37만 9332명 대비 20.0%(7만 5998명) 증가했다.

2021년 기준 ‘배뇨장애’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74만 6059명) 중 60대가 22.6%(16만 8422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1.8%(16만 2788명), 80세 이상이 15.6%(11만 6280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1.7%로 가장 높았고, 70대가 20.5%, 50대가 13.5%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에는 60대가 23.2%, 70대가 22.7%, 80세 이상이 18.1%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배뇨장애’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 1451명으로 2017년 1129명 대비 28.5% 증가했다. 남성은 2017년 765명에서 2021년 1129명(47.6%)으로 증가했다. 여성은 2017년 1495명에서 2021년 1774명(18.7%)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배뇨장애’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6102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이 5110명으로 가장 많고 70대가 3741명, 60대가 1852명 순이었다. 여성도 80세 이상이 6636명으로 가장 많고, 70대가 5439명, 60대가 2942명 순으로 나타났다.  

‘배뇨장애’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7년 1563억원에서 2021년 2478억원으로 2017년 대비 58.6%(915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2.2%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성별 ‘배뇨장애’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23.1%(57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22.0%(544억원), 80세 이상이 15.7%(388억원) 순이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23.3%(237억원), 여성은 60대가 23.3%(34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7년 27만 2000원에서 2021년 33만 2000원으로 22.2% 증가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7년 25만 4000원에서 2021년 35만원으로 37.6% 증가했다. 여성은 2017년 28만 1000원에서 2021년 32만 1000원으로 14.2% 증가했다. 

2021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가 37만 6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이 41만 2000원, 여성은 40대가 38만 2000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재원 교수는 6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노화에 따른 배뇨근 수축력이나 방광용적의 감소, 당뇨와 같은 기저질환, 배뇨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일부 약물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며 “남성에게는 양성전립선비대증 또한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뿐만 아니라 노인층 중 비교적 젊은 60대의 경우 사회생활, SNS 등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통해 배뇨장애를 인지해 비뇨의학과에 방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뇨장애’란?

배뇨장애는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과 요도의 기능적인 이상이 있어 환자가 배뇨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 ‘배뇨장애’의 발생 원인

배뇨장애는 배뇨근의 과활동성, 과민성 방광과 같이 저장기능의 이상 또는 방광출구 폐쇄, 방광수축력 감소와 같은 배출기능의 이상 뿐 아니라 노화, 성호르몬 변화, 뇌-척수 신경질환, 약물복용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방광의 신경 변화, 중추 신경변화, 배뇨근과 방광의 형태-기능학적 변화가 생기고 하부요로 증상이 유발된다.

하부요로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질환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다. 이는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남성에서는 양성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방광출구 폐쇄가 흔하며, 여성에서는 복압성 요실금과 과민성 방광이 흔한 질환이다. 그 밖에도 배뇨근 저활동성, 배뇨근 불안정, 감각성 절박뇨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 ‘배뇨장애’의 주요 증상

배뇨장애의 주요 증상으로는 크게 저장 증상, 배뇨 증상 및 배뇨 후 증상으로 크게 나뉜다. 저장 증상으로는 주간 빈뇨, 야간뇨, 요절박, 요실금 등이 있고 배뇨 증상으로는 세뇨(약뇨), 분산뇨, 간헐뇨, 요주저, 복압배뇨 등이 해당된다. 배뇨 후 증상으로는 잔뇨감 혹은 배뇨 후 점적 등이 있다.

○ ‘배뇨장애’ 치료법

치료법은 증상에 따라 좀 다를 수 있다. 저장 기능 장애에 대해 방광의 저장기능 강화를 위한 항콜린성 약제, 근이완제 등과 방광 출구 기능 강화를 위한 알파 교감 신경 촉진제 등 약물치료가 있다.

비약물치료로는 골반근육 운동, 바이오피드백 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방광목 슬링 수술, 인공 요도괄약근 수술 등이 있다.

배뇨 기능 장애에 대해선 방광 출구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알파 교감신경 차단제, 근육 이완제 등의 약물치료와 함께 전립선 비대로 인해 배뇨 이상이 있을 때에는 전립선의 크기를 줄이는 5-알파-리덕타제(5α-reductase) 차단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홀뮴 레이저를 이용한 전립선 적출술, 개복 또는 로봇 전립선 적출술, 요도 스텐트 등이 있다.

○ ‘배뇨장애’ 예방법

일상생활에서 배뇨장애 예방을 위해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휴식은 필수다. 너무 오래 앉아있는 것은 피해야 하며, 기름지고 맵고 짠 음식이나 술, 담배, 커피 등은 삼가고 과일이나 토마토, 마늘 등의 채소류를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비만으로 방광이 눌려 배뇨장애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변을 오래 참는 것은 피해야 한다.

○ ‘배뇨장애’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위험성

방치 시 배뇨장애로 인한 여러 합병증이 있어 이로 인해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방광 속에 남아있는 소변, 즉 잔뇨로 인해 방광염이나 요로결석이 발생할 수 있고, 더 진행하면 신장 기능이 악화되어 급성 신부전 또는 신우신염과 같은 요로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요의가 있으나 소변이 전혀 나오지 않는 급성 요폐가 발생해 응급실에서 도뇨관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도움말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재원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