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2일 제약 종목은 씨티씨바이오와 에이비엘바이오가 7% 이상 오르며 눈길을 끌었다. 두 회사 모두 코스닥 제약지수 종목이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씨티씨바이오는 전일(6490원) 대비 8.01%(520원) 상승한 7010원을 찍으며 장을 마감했다. 씨티씨바이오는 필름형 의료용 대마 연구기술을 확보한 기업이다.
일본 정부가 최근 대마초를 원료로 생산된 의약품 사용을 골자로 하는 대마단속법 개정안을 일본 국회에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씨티씨바이오는 지난해 11월 일본 기업 코에볼루션네트워크엘엘씨(Co-Evolution Network LLC)와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구강용해필름(ODF)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회사는 지난 2017년부터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경북 산업용 헴프(Hemp) 규제자유특구’에서 CBD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 일반적으로 대마라고 알려진 헴프는 환각성이 없는 의료용 약물로 사용된다. 통증, 희귀성,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해 쓰이며 소아뇌전증, 치매, 파킨스병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있다.
에이비엘바이오도 전일(2만 100원) 대비 7.96%(1600원) 오른 2만 1700원에 장을 마쳤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이중항체 기술 기반 담도암 치료제 ABL001(CTX-009)의 임상 2상 중간결과가 지난달 19일 긍정적으로 발표된 바 있다. 한독이 국내에서 담도암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ABL001과 파클리탁셀 병용요법 임상 2상에 대한 중간결과에서 객관적반응률(ORR)은 37.5%, 무진행생존기간(PFS)과 약물반응기간(DoR)의 중앙값은 각각 9.4개월이었다. 9건의 부분관해(PR)가 관찰됐고 약물반응률(DCR)은 91.7%로 나타났다.
증권가에서는 경쟁약물보다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며 담도암 치료제로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에 고무적인 결과로 평가하고 있다. ABL001은 미국 컴패스와 국내 제약기업 한독에 각각 기술 이전됐다. 컴패스가 미국에서, 한독이 국내에서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코스닥 제약지수는 전일(7556.34) 대비 105.37p(+1.39%) 상승한 7661.71로 장을 마감했다.
오른 종목은 전체 115개 가운데 씨티씨바이오(+8.01%), 에이비엘바이오(+7.96%), 셀루메드(+5.73%) 등 101개였고, 내린 종목은 케어젠(-1.33%), 에스씨엠생명과학(-0.88%), 제놀루션(-0.83%) 등 11개 종목에 불과했다.
코스피 의약품 지수 종목에서는 JW중외제약과 한미약품이 3%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JW중외제약은 전일(2만 250원) 대비 3.70%(750원) 상승한 2만 1000원을 기록했다.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의 급여 결정 여부와 아토피 치료제 임상 2상에 대한 기대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심평원은 이달 약제급여평가심의위원회(약평위)를 통해 혈우병 비항체 환자를 대상으로 급여 등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JW중외제약의 ‘헴리브라’는 2020년부터 항체 환자에게 급여가 적용되고 있지만 비항체 환자는 아니다.
JW중외제약의 아토피 신약 후보물질 ‘JW1601’의 글로벌 임상 2상은 2분기 중 완료될 예정이다. JW중외제약은 2018년 전임상 단계에 있는 JW1601을 레오파마에 총 4억 200만 달러(약 4900억 원) 규모에 기술 수출한 바 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강하나 연구원은 “통상 4~5개월안에 보험 등재가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올해 3분기에는 보험 등재 여부가 확실해질 것”이라며 “2분기에는 후시딘 개발사 LEO파마에 기술 수출한 아토피 치료제 ‘JW1601’ 임상 2상이 완료될 예정이기 때문에 마일스톤 유입(약 200억 원)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한미약품은 전일(26만 3000원) 대비 3.42%(9000원) 상승한 27만 20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한미약품은 전날 호중구감소증 치료 신약 ‘롤베돈’(국내 제품명 ‘롤론티스’)이 미국에서 3개월 만에 1000만 달러 규모(약 121억 91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한미약품 파트너사인 미국 스펙트럼파마슈티컬에 따르면, 제품 출시 이후 70개 거래처가 롤베돈을 구매했으며 전체 클리닉 시장의 22%를 차지하는 상위 3개 커뮤니티 종양 네트워크에서 롤베돈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한미는 또 지난달 31일 뇌기능 개선제 ‘사미온’(성분명 니세르골린)의 첫 제네릭인 ‘니세골린’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허가받은 품목은 ‘니세골린정’ 10mg 및 30mg이다. 일동제약의 사미온정은 지난 1978년 허가를 받은 후 1986년 10mg, 1997년 30mg에 대한 품목허가권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일동제약이 다른 경쟁자 없이 독점체제를 유지해 왔다.
일동제약의 ‘사미온’은 연간 매출액이 100억 원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최근 국내 뇌기능 개선제들이 임상재평가에서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면서 퇴출되는 바람에 대체 약물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코스피 의약품 지수는 1만 3854.52로 전일(1만 3741.13) 대비 113.39p(+0.83%) 상승했다. 의약품 지수 종목 54개 가운데, 오른 종목은 JW중외제약(+3.70%), 한미약품(+3.42%), SK바이오사이언스(+2.86%) 등 45개, 내린 종목은 대웅(-2.30%), 대웅제약(-0.59%), 종근당바이오(-0.40%) 등 7개다.
한편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9.08p(+0.78%) 오른 2468.88, 코스닥 지수는 13.66p(+1.82%) 상승한 764.62에 거래를 마쳤다.
<2일 종가 기준 코스피 의약품지수 내 상위 10개 종목>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백만) |
시가총액(억) |
외국인 |
JW중외제약 |
21,000 |
▲750 |
+3.70% |
211,256 |
4,432 |
4,657 |
7.25% |
한미약품 |
272,000 |
▲9,000 |
+3.42% |
56,200 |
15,285 |
34,169 |
16.38% |
SK바이오사이언스 |
79,200 |
▲2,200 |
+2.86% |
317,669 |
25,070 |
60,813 |
4.58% |
유유제약 |
6,400 |
▲170 |
+2.73% |
84,926 |
535 |
1,103 |
2.35% |
녹십자 |
135,200 |
▲3,500 |
+2.66% |
52,734 |
7,096 |
15,800 |
22.27% |
오리엔트바이오 |
690 |
▲17 |
+2.53% |
278,280 |
191 |
818 |
1.13% |
보령 |
9,840 |
▲230 |
+2.39% |
574,957 |
5,719 |
6,759 |
7.16% |
명문제약 |
2,920 |
▲65 |
+2.28% |
109,640 |
317 |
991 |
0.93% |
신풍제약 |
21,650 |
▲400 |
+1.88% |
230,029 |
4,980 |
11,471 |
6.01% |
팜젠사이언스 |
6,940 |
▲120 |
+1.76% |
102,868 |
711 |
1,099 |
2.66% |
<2일 종가 기준 코스닥 제약지수 내 상위 10개 종목>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백만) |
시가총액(억) |
외국인 |
씨티씨바이오 |
7,010 |
▲520 |
+8.01% |
302,934 |
2,058 |
1,695 |
1.95% |
에이비엘바이오 |
21,700 |
▲1,600 |
+7.96% |
1,390,878 |
29,935 |
10,370 |
6.94% |
셀루메드 |
5,350 |
▲290 |
+5.73% |
2,941,955 |
15,853 |
2,236 |
1.30% |
보로노이 |
33,000 |
▲1,600 |
+5.10% |
128,600 |
4,249 |
4,174 |
1.91% |
바이오플러스 |
8,260 |
▲380 |
+4.82% |
2,419,714 |
19,775 |
4,785 |
1.33% |
티앤알바이오팹 |
13,550 |
▲590 |
+4.55% |
98,942 |
1,327 |
2,872 |
3.63% |
샤페론 |
7,050 |
▲300 |
+4.44% |
1,369,320 |
9,490 |
1,599 |
1.45% |
엔지켐생명과학 |
1,711 |
▲71 |
+4.33% |
1,368,860 |
2,354 |
1,442 |
9.04% |
파멥신 |
3,045 |
▲125 |
+4.28% |
213,615 |
651 |
782 |
0.17% |
바이오솔루션 |
11,550 |
▲470 |
+4.24% |
18,338 |
209 |
941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