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온라인에서 확산되고 있는 전립선비대증에서의 쏘팔메토 효과와 비타민 C 정맥주사 항암효과가 확인할 수 없거나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한국과학기자협회는 15일 국민이 궁금해하는 온라인 미디어상의 건강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건강정보의 과학적 근거를 확인해본 결과, 쏘팔메토 추출물은 전립선비대증에서 임상적인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고 비타민 C 정맥주사의 항암효과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부족했다.
먼저 전립선비대증에 쏘팔메토 추출물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현재 쏘팔메토 추출물이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쏘팔메토 추출물 복용 시 복용하지 않는 것과 비교했을 때 최대 소변 속도와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에서 일부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전립선 증상 점수, 전립선 크기, 잔뇨량 개선 등 대부분의 결과에서 효과가 없었다.
일반적인 전립선비대증 치료 약물인 알파차단제와 5-알파 환원효소 차단제들과 비교한 결과에서도 알파차단제가 쏘팔메토 보다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 개선에서 더 효과적이었고, 5-알파 환원효소 차단제가 쏘팔메토 보다 전립선 크기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
연구원측은 “전립선 증상 점수 개선, 최대 소변 속도 증가, 잔뇨량 감소 등에서는 기존의 전립선비대증 치료 약물들이 쏘팔메토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와 효과의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이 다양하게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비타민 C 정맥주사 항암효과 과학적 근거 부족해”
연구원은 암환자 대상 비타민 C 정맥주사의 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암환자의 생존기간이 늘어나거나 암조직이 작아지는 반응 등의 직접적인 항암효과가 있는지와 항암요법의 부작용이 완화되는 보조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항암효과가 확인된 암종은 유방암으로 항암제와 비타민 C 정맥주사를 함께 투여한 환자군에서 생존기간이 더 길었다. 하지만 골수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제와 비타민 C 정맥주사를 함께 투여했을 때 생존기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C 정맥주사가 암환자의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관성이 없었으며 종양반응률(암조직이 작아지는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암 절제술 전 고용량 비타민 C 정맥주사를 투여한 대장암 환자의 경우 비타민 C를 투여하였을 때 휴식 시 통증은 감소했지만 피로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C 정맥투여가 환자의 통증, 메스꺼움, 식욕부진 등의 항암요법 부작용을 완화 시켜주고 삶의 질을 개선 시킨다고 보고한 일부 연구가 있지만 비타민 C 투여를 받지 않은 비교 환자군이 없어 연구 결과를 신뢰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연구원측은 “현재 비타민 C 정맥주사가 암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리거나 항암요법 부작용을 완화시킨다고 보기에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광협 원장은 “온라인 미디어의 발전으로 국민이 쉽게 건강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과학적 근거가 없는 내용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 점은 우려스럽다”며 “지속적인 건강정보 모니터링과 검증 노력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건강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온라인 미디어 건강정보 검증 개요 [사진=한국보건의료연구원 제공]](/news/photo/202209/328964_204621_464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