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무역수지, 집계 이래 최초로 흑자 전환 
의약품 무역수지, 집계 이래 최초로 흑자 전환 
2020년 수출액 전년 대비 64.5% 증가 ... 약 10조 기록

의약품 시장 규모, 전년 대비 4.7% 역성장 ... 23조 수준 

생물의약품 생산액, 전년 대비 54.86% 증가 ... 4조 눈앞

생물의약품 국내 시장 규모 집계 이래 최초로 3조 원 돌파 
  • 박민주
  • admin@hkn24.com
  • 승인 2022.01.18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헬스코리아뉴스 D/B]
[사진=헬스코리아뉴스 D/B]

[헬스코리아뉴스 / 박민주] 2020년 의약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무려 64.5%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수입액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계 이래 최초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를 발간했다. 

 

연도별 의약품 산업통계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2021년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22.01.17)]
연도별 의약품 산업통계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2021년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22.01.17)]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의약품 생산액은 24조 원 57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22조 3100억 원보다 10.10% 증가한 것이다. 

2020년의 수출액은 9조 96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64.49% 증가했다. 2019년의 수출액은 6조 600억 원 수준이었다. 수입액은 8조 5700억 원으로 전년(8조 500억 원) 대비 6.40% 증가하는데 그쳤다. 

수출액이 급증하면서 무역수지(생산액-수출액+수입액)도 1조 3900억 원을 기록, 흑자 전환했다. 통계는 2011년의 데이터부터 제시하고 있는데, 처음으로 수출액이 수입액을 넘어서면서 흑자로 돌아섰다. 

다만 2020년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23조 17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68% 역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9년의 시장 규모는 24조 3100억 원 수준이었다. 

 

연도별 생물의약품 산업통계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2021년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22.01.17)]
연도별 생물의약품 산업통계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2021년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22.01.17)]

한편 2020년 생물의약품 생산액은 3조 9300억 원으로 전년대비 54.86% 증가했다. 2019년의 생물의약품 생산액은 2조 5377억 원 규모였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다국적 제약사의 생물의약품 바이오 시밀러를 잇따라 출시하면서 전체 시장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생물의약품의 수출액은 2조 3825억 원으로 전년(1조 4963억 원) 대비 59.22%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1조 7555억 원으로 전년(1조 5588억 원) 대비 12.62% 증가했다.

생물의약품의 무역 수지는 6271억 원을 기록했다. 생물의약품의 무역수지는 2015년부터 흑자를 기록 중이다. 2015년 804억 원, 2016년 1770억 원, 2017년 3687억 원, 2018년 3804억 원 등이었다. 그러다가 2019년 624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2020년 다시 흑자 전환했다. 

생물의약품의 국내 시장 규모는 3조 302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2조 6002억 원 대비 27.03% 성장한 것으로, 집계 이후 최초로 3조 원 대를 기록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순호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3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