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임도이]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1년전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여파로 의료체계에 과부하가 걸린 영향이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30일 열린 '제10차(2021년도)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에서 2020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3만여 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는 급작스럽게 심장 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한다.
조사결과, 2020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 1652명으로,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1.6명이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남자에서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제주에서 인구 10만 명당 98.0명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33.7명으로 가장 낮았다.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하였고,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이 9~17위에 분포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하여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 1417명이었으며, 이 중 2345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7.5%였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6년의 2.3%에 비해서는 개선된 수치이나, 2019년 8.7%보다 감소한 것이다. 시·도별로도 대체로 2019년에 비해서 생존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뇌기능회복률도 2020년 4.9%로, 2019년 5.4%에 비해 감소했다.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020년 26.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2011년에 처음 개발·보급되기 시작하여, 2015년, 2020년에 개정되었으며, 2020년 개정 내용에는 코로나19 등 감염 우려 사항에서의 심폐소생술 시행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시 목격자가 있어야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수 있는데 2020년 급성심장정지로 쓰러지는 과정이 목격된 경우는 50.1%로, 목격된 급성심장정지 중에도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감염이 2020년 1월부터 발생하였으므로, 2020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 활용 시에도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가 급성심장정지조사감시 자문위원회 위원장인 연세의대 정성필 교수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이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여러 나라에서 보고되고 있다”며 “감염 우려에 따른 적극적인 심폐소생술 시행 감소, 방역조치 및 이송병원 선정 지연 등으로 구급활동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병원 이용 감소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열우 소방청장은 “코로나19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환자의 생명과 구급대원의 안전을 모두 생각하는 최선의 대응을 위해 119 구급대는 오늘도 헌신적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면서 “이번 심포지엄이 더 많은 심정지 환자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지혜를 모으고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는 의료체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심장정지와 같이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시에, 적절하게 관리하기에 여러 어려움이 있다”면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앞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위기 상황을 고려하여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회복을 돕기 위한 전략이 논의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