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수면 잠](/news/photo/202110/322170_189547_115.jpg)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수면무호흡증, 불안 등의 요인이 있으면 수면을 취해도 피로가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전문 매체 헬스라인(Healthline)은 17일(현지 시간) 잠을 자도 회복되지 못하는 이유를 건강문제와 생활 스트레스요인으로 설명하며, 숙면을 취할 수 있는 17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마운트시나이 의과대학(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의 신경과학 니콜 아베나(Dr. Nicole Avena) 조교수는 “약간의 피곤함을 느끼는 것은 정상이지만, 규칙적으로 너무 피곤해서 집중할 수 없거나 책상에서 잠이 드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정상적이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수면을 취해도 회복되지 않는 이유로 ▲불면증 ▲만성 피로 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 ▲수면 무호흡증 ▲기면증 ▲폐병을 꼽았다.
건강 문제 외에도 ▲교대 근무 ▲시차적응 ▲출산 ▲간병 ▲불안 ▲만성통증 ▲약품 복용 등의 생활 스트레스를 요인으로 제시했다.
아베나는 “작년 2827명의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충분한 회복 수면을 취하지 않는 것과 삶의 질을 낮추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성인들은 이상적으로 4~5번의 수면 주기를 거치면서 적어도 7시간의 수면을 취해야 하고, 신생아들은 하룻밤에 14시간에서 17시간의 수면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만약 회복수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단기적으로는 기억력 장애와 집중력의 문제가 발생한다. 장기적으로는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신체외에도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쳐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숙면을 통한 회복이 필수적이다.
아이슬란드 대학(University of Iceland) 영양과학 아틀리 아르나손(Atli Arnarson) 박사가 추천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방법 17가지를 소개한다.
1. 낮에 햇볕 쬐기
2. 저녁 블루라이트 노출 줄이기
3. 늦은 시간 카페인 섭취하지 않기
4. 불규칙하거나 긴 낮잠 줄이기
5.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기
6. 멜라토닌 보충제 복용하기
7. 보충제(천연약초, 마그네슘 등) 먹기
8. 술 마시지 않기
9. 잠이 잘 올 수 있는 침실환경 만들기
10. 침실 온도 20°C 맞추기
11. 늦은 저녁 음식 섭취하지 않기
12. 저녁에 긴장 풀고 마음 정리하기
13. 편안한 목욕이나 샤워하기
14. 수면 장애 시 전문가 만나기
15. 편안한 침대, 매트리스, 베개 준비하기
16. 규칙적인 운동
17. 자기 전 어떤 액체도 마시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