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약 70%가 건강기능식품 섭취 한다 ... 2019년 시장 규모 약 3조원
성인 약 70%가 건강기능식품 섭취 한다 ... 2019년 시장 규모 약 3조원
구입 동기 지인 추천이 가장 많아 ... 2~3종 먹는 경우가 절반 이상  
  • 박민주
  • admin@hkn24.com
  • 승인 2021.03.08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박민주] 우리나라 성인의 약 70%는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국내 매출액은 2012년 대비 약 2배 증가해 2019년 약 3조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11월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소비자 인식도 조사'를 실시, 응답자 중 68.9%가 "건기식을 구입해 섭취 중"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건기식을 구입한 경험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50.2%, 2017년 60.6%, 2018년 63.6%, 2019년 67.6%에 이어 2020년에는 68.9%의 응답자가 건기식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건기식 매출액은 2012년 1조 4091억 원에서 2017년 2조 2374억 원, 2018년 2조 5221억 원, 2019년 2조 9508억원을 기록하며 7년만에 매출 규모가 약 2배로 성장했다. 생산 상위품목은 홍삼, 헛개나무추출물 등 개별인정형 제품,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및 무기질, EPA 및 DHA 함유 유지 순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건기식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0.9%는 '일반 식품과 차이를 알고 있다', 74.9%는 '건기식 인증 도안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식약처는 "식약처가 인증한 건기식은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와 도안, 우수제조기준(GMP) 인증 도안이 함께 표시되어 있으므로 확인 후 구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건강기능식품 인증 도안 및 제품 표시사항
건강기능식품 인증 도안 및 제품 표시사항

건기식의 구입 동기는 지인 추천(33.7%), 인터넷 광고(24.4%), 기타(24.1%), 홈쇼핑 광고(11.2%) 순이었고, 과대광고를 통해 구입한 경험도 10.7%에 달했다. 건기식 섭취 개수는 2~3가지(57.8%), 1가지(23.9%), 4~5가지(12.9%)로 조사됐다. 

식약처는 "질병으로 병원 치료를 받거나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한 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의약품과 같이 섭취할 경우 주의해야 할 원료 성분, 27종]

인삼, 프로바이오틱스, 알로에, EPA 및 DHA 함유 유지, 밀크씨슬추출물, 감마리놀렌산, 당귀, 마테, 돌외잎, 대두, 카르니틴, 녹차, 키토산/키토올리고당, 스피루리나, 글루코사민, 석류, 가시오가피, 와일드망고, 클로렐라, 공액리놀레산, 코엔자임Q10, 은행, 쏘팔메토추출물, 포스파티딜세린, 크랜베리, 감초추출물, 울금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카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순호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3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