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임도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헌혈자가 급감, 혈소판 수혈을 받아야 하는 백혈병 환자들이 제때 수혈을 받지 못하는 비상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16일 한국백혈병환우회(대표 안기종)와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전혈이나 혈장에 비해 혈소판 헌혈자가 특히 적어 혈소판 공급이 지연되고 있고, AB형 혈소판의 경우 1주일이 지나야 공급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이나 한마음혈액원에서 혈소판을 제때 공급받지 못하는 병원들은 환자가족에게 혈소판 헌혈자를 직접 구해서 지정헌혈 방법으로 병원에 공급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마저도 어려운 환자들은 지정헌혈 방법으로 병원에 이미 공급되어 있는 다른 환자들의 혈소판을 임시변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백혈병환우회는 “혈소판 헌혈자를 환자가족이 직접 구하는 관행은 이미 14년 전 ‘혈소판 사전예약제’ 실시를 통해 없어졌는데도 헌혈자가 부족하다 보니 부활됐다”며 정부와 적십자사 등을 향해 “백혈병 환자가족이 혈소판 헌혈자를 직접 구하지 않도록 신속히 조치해야한다”고 촉구했다.
환우회는 이어 “병원에서 혈소판이 부족한 것은 헌혈의집이나 헌혈카페에서 혈소판 채혈을 적게 해서가 아니라 헌혈자들이 혈소판 헌혈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백혈병 환자들이 혈소판 부족으로 생명이 위험해 신속히 혈소판 헌혈이 필요하다고 안내하거나 권유하면 많은 헌혈자들이 채혈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혈소판 헌혈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혈소판이 필요한 환자는 비단 백혈병 환자만이 아니다.
골수이형성증후군·재생불량성빈혈·다발성골수종·악성림프종 등 혈액질환 환자들은 진단을 받으면 무균실에 입원해 수차례의 항암치료를 받은 후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을 받는다. 이러한 항암치료를 받는 동안이나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후 혈소판 수치는 급격히 떨어져 장출혈·뇌출혈·폐출혈 등 장기출혈로 이어지는데 이때 긴급히 혈소판 수혈을 받지 못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안기종 백혈병환우회 대표는 “코로나 사태 이후 혈소판이 부족해서 환자들이 발을 동동구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혈액이 부족해 지정헌혈로 수혈 받을 혈소판을 직접 구하고 있는 백혈병 환자들을 위해 혈소판 헌혈에 참여해 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