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신경병증 정확한 유전진단, 조기 치료와 청력회복 가능
청각신경병증 정확한 유전진단, 조기 치료와 청력회복 가능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팀, 유전자 변이 진단 새 프로토콜 발표
  • 서정필 기자
  • hustledoo79@gmail.com
  • 승인 2019.04.10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서정필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은 10일 이 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팀이 국내 ‘선천성 청각신경병증’ 환자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해 일반적 염기서열분석법으로는 놓칠 가능성이 큰 유전자 변이를 선별할 수 있는 새 프로토콜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선천성 중고도 난청은 신생아 1,000명 중 한 명 꼴로 발생하며 이중 약 8% 정도가 청각신경병증으로 분류된다. 청각신경병증은 내이까지 정상적으로 들어온 소리가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장애가 일어나 고도난청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원인과 양상이 다양해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중에서도 신경전달물질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청각신경병증이 발생하는 ‘OTOF 유전자 변이’에 의한 청각신경병증은 오직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통해서만 청력을 회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과도 탁월해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한국인은 유전적 특성이나 유전자 변이의 적절한 진단법에 대한 연구가 미진해 조기 진단과 치료에는 한계를 가졌다.

최병윤 교수팀은 청각신경병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가계도 조사와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OTOF 유전자 변이의 종류와 비율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국내 청각신경병증 환자의 유전진단을 위해 통용되는 염기서열분석법의 한계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검사법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국내 청각신경병증 환자 중 90.9%가 OTOF 유전자의 변이와 연관된 것으로 확인됐다. 

최 교수는 “청각신경병증은 잔존 청력이 남아있는 것처럼 보일수도 있고, 때론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어 적절한 수술 시기를 결정하기가 까다롭다”며 “청각신경병증의 다수를 차지하는 OTOF 돌연변이가 발견된 경우라면 늦지 않게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최근 널리 사용되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인 NGS 방식으로는 국내 선천성 청각신경병증 환자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OTOF 유전자의 특정 변이가 선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인공와우 이식수술이 지연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는데 최병윤 교수팀은 이를 극복하는 새로운 프로토콜도 제안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프로토콜을 통해 국내 청각신경병증 환자에서 발견되는 OTOF 변이 총 7종에 대해 직접적인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함으로써 놓치는 부분 없이 돌연변이에 의한 청각신경병증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인공와우 이식수술 시기에 따른 청력회복수준의 비교
인공와우 이식수술 시기에 따른 청력회복수준의 비교

아울러 이번 연구에서는 청각신경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와우 수술 시기에 따른 청력회복 정도를 비교해 분석했다. 그 결과, 만 18개월 이전에 이식수술을 한 그룹(5명)은 수술 후 6개월째 시행된 청각수행능력 결과에서 4.2점이었던 반면, 18개월 이후 수술한 그룹(5명)은 1.5점으로 나타나 수술 시기에 따라 청력회복수준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최병윤 교수는 “앞으로는 선천성 청각신경병증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유전진단법으로 OTOF 유전자 변이를 놓치지 않고 조기에 선별할 수 있게 됐다”며 “선천성 청각신경병증을 둔 부모의 경우, 이러한 유전자 검사를 늦지 않게 받으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청각신경병증의 치료나 수술의 시행 여부를 보다 빨리 결정함으로써 청력의 회복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중개의학저널(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