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가 불공정거래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는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을 도입한다고 한다. 지난 4월초 대통령의 강력한 경고가 있고 난 후 부랴부랴 만들어진 것이라 그 진정성이 의심되는 바가 없지 않으나 관심을 끄는 건 사실이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의 △불공정 관행 시정 △기업 스스로 투명성·책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자율준수프로그램 활성화 △준법경영 관련 교육실시 명령 △기업·기업집단 정보 총괄 포털사이트 운영 △지주회사 설립·전환비용 축소 △계열사와의 부당내부거래 감시기능 강화 등의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터라 제약업계로서도 더 이상 버티기가 힘든 상황이었다.
CP는 2001년7월 제정된 이후 현재 국내 300여 기업에서 도입하여 시행되고 있었지만 제약업계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었다. 먹고 살기 바쁜데 그런 것까지 신경쓸 여력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실 CP는 기업들에게 이득을 준다. 위험관리차원에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CP가 보편화되어 있다. 기업의 범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과징금, 손해배상, 소송비용 등 경제적 부담뿐만 아니라 법위반 사실 보도로 인한 사회적 이미지 실추와 같은 유무형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지만, 이 제도를 도입하여 정착시킬 경우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제약업계는 올들어 약제비 적정화방안, 한·미FTA체결,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약사 불공정행위 조사 등 주변여건들의 악재로 인해 기업경영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 제도가 정착되면 글로벌기업으로 나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런 제도를 준수하지 않는 기업은 발을 못붙이게 하기때문이다.
사실 그간 우리 제약업계는 기술개발을 통한 신약개발 보다 수입약이나 복제약으로 배불려 왔다. 그러다 보니 병원이나 약국을 상대로 불성실 거래가 끊이지 않았고 과당경쟁으로 제 살깍아먹기식 영업행위가 비일비재 했다. 오죽했으면 '제약업체가 식약청 보다 공정거래위원회의 눈치를 더 본다' 라는 말이 나왔겠는가?
일부 악덕제약사는 (개발되지도 않은)신약개발을 내세워 주가 올리기에 열을 올리는가하면 주식의 대부분을 가족 친지등이 소유하고 있다. 또 M&A를 통해 덩치 부풀리기에만 골몰해 왔으며 과다효능광고로 소비자를 기만하기 일쑤였다. “복제약 팔려면 의리고 뭐고 있습니까”하는게 제약사의 솔직한 토로다. 앞에서는 공정거래 뒤에서는 상대 제약사 죽이기에 나서는 것이 이 바닥의 현실이었음을 자인하는 말이다.
기업은 무엇보다 고객, 주주 및 투자자에 대한 책무와 국가와 사회에 대한 책무를 지녀야 하며 경영투명성을 높여 사회에 공헌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중요하다. 더우기 이제까지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해온 일부 제약사들은 더욱 그러하다.
우리 제약업계가 세계-지역의 균형을 이해하고 적응하여 FTA파고를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나아가느냐 하는 것은 앞으로 얼마나 더 잘, 제대로 CP를 운영해 나가는가에 달려 있다. 소나기를 피하기 위한 일시적 미봉책이 아니길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