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지난 23일 열린 대한한의사협회 정기대의원 총회에서 “한의계가 우리나라 전통 의료임에도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다. 주객이 전도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한의계가 우리나라 전통 의료의 주인 역할을 해야 하는데 많은 것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특히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과 관련 “최근 헌법재판소 판결로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법적 시비는 없어졌지만 장벽이 없어지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며 “힘을 합쳐 장벽이 없어질 때까지 노력하겠다. 이 문제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고 밝혔다.
이 위원의 이 같은 발언에 의료계는 “표심에 눈이 어두워 실현 가능성이 불분명한 정치적 수사”라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노환규 회장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한방이 보험이 안 돼 억울해하는 사람보다 한방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데 그 보험료까지 내야해서 억울해하는 사람이 더욱 많다는 사실을 알고 있냐”며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엘리트 코스를 밟아 3선 의원을 지내고, 서울시장에 출마한 이혜훈 위원에게 실망을 넘어 절망을 느낀다”고 꼬집었다.
서울시의사회는 “X-레이, CT, 초음파, 레이저 등 현대의료기기는 현대 의학에 근거해서 만들어진 산물”이라며 “완전히 다른 학문 체계를 가진 한의학을 배운 한의사들이 현대의료기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또 “건강보험 급여 확대는 어디까지나 국민적 요구에 의해 이뤄지는 것으로 정당한 절차를 밟아야 하는 것임에도 표심에 눈이 어두워 실현 가능성이 불분명한 정치적 수사를 남발했다”며 “국민건강을 위해 노력하는 3만여 서울시의사회 회원들의 민심이 들끓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혜훈 위원 홈페이지에도 항의성 글들과 이를 지지하는 글들이 폭주했다.
‘한의학의 뿌리가 현대의학인가!’, ‘개념, 원칙도 없고 포퓰리즘만 난무하는 이혜훈 후보’ 등의 원색적인 비난과 함께 ‘이 후보의 소신있는 발언을 지지한다’ 등의 내용을 담은 게시물도 줄줄이 이어지고 있는 것.
의-한 간 갈등이 재점화되자 이 위원은 이번 발언에 대해 직접 해명을 하고 나섰다.
이 위원은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한의학계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해 제가 드린 말씀의 본 뜻은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법개정이 이뤄졌음에도 현장에서 제대로 집행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이러한 장벽을 없애도록 여야가 힘을 합쳐 노력하겠다’는 것이었다”며 “이러한 뜻을 일부 언론이 왜곡, 마치 한의사에게 모든 의료기기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로 보도했다. 이는 사실이 아님을 밝힌다”고 해명했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